슬슬 이낙연 관련주 또는 이낙연 인맥주로 분류되는 종목들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현재 정치권에 차기 대권 및 정치 행보를 위한 인물 부재에 골머리를 썩고 있고,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빠져버렸죠. 현재 해외에 체류 중인 이낙연 전 국무총리의 복귀에 시각이 쏠리는 이유가 바로 인물 부재 때문입니다.
최근 이 전 총리는 2023년 6월에 귀국하겠다는 의견을 밝혔는데 정치권 복귀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에 따른 이낙연 전 대표의 복귀설은 계속해서 이슈가 됩니다. 이재명이라는 거대한 영향력을 대체할 만한 인물이 이낙연 전 대표 외에는 없다는 판단 때문이죠. 이재명 대표에 대한 조사가 계속되고 사법 리스크에 대한 이슈가 강해질 때마다 이낙연 관련주는 계속해서 부각될 것이고, 현재 응축한 에너지를 터뜨릴 세 가지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 현실화, 두 번째는 이낙연 전 대표의 귀국. 그리고 세 번째는 이낙연 전 대표의 정치권 복귀입니다. 이 중 두 가지만 실현되어도 이낙연 관련주들은 단체로 불기둥을 만들어 낼 것으로 판단됩니다.
1. 남선알미늄 (008350, 코스피)
남선알미늄은 SM그룹의 계열사입니다. SM그룹은 우오현 회장이 중심이 되며, 여기저기 정치 인맥이 많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SM그룹에서 삼환기업이라는 계열사가 있는데 삼환기업의 이계연 대표이사가 이낙연 총리의 친동생입니다. 아주 강력한 이낙연 인맥주로 분류되는 남선알미늄인데요. 이낙연 인맥주로써 대장주로 군림하고 있는 남선알미늄이죠.
실제 정치권 인맥이 두텁다는 SM그룹의 우오현 회장은 호남 출신이기도 하고, 이낙연 전 국무총리와의 친분이 있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SM그룹 계열사인 삼환기업에 이낙연 국무총리의 동생인 이계연 대표이사가 재직하고 있기에 SM그룹 계열사 중 하나인 남선알미늄이 정치인맥주로 부상하게 된 이유가 되겠습니다. 원래 대선주 정치 인맥주는 이렇게 말도 안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해당 이슈가 발생하면 수급이 몰리면서 주가의 등락이 발생하게 됩니다. 현재 이계연 대표이사는 사장직은 사퇴했지만 SM그룹 우오현 회장과 이낙연 전 국무총리의 관계에 대한 소문으로 인해 (소문이라지만 실제 친동생이 대표였던 만큼 관계는 있을 것입니다.) 여전히 이낙연 관련주로 손꼽히는 종목입니다.
2. 티케이케미칼 (104480, 코스닥)
티케이케미칼이 이낙연 관련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남선알미늄과 다르지 않습니다. 티케이케미칼 역시 SM그룹의 계열사이고, 주식시장에 사장된 종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정치 인맥주에 논리를 적용하시 마시고, 과거 주가의 움직임만 보시면 됩니다. 한번 인맥주, 정책주로 부각받았던 종목은 해당 인물이 부각되면 주가는 다시금 들썩이게 되는 것이 실체가 없는 인맥주의 움직임이고, 역사적으로 증명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투자 기법의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SM그룹 우오현 회장은 기업 M&A계의 큰손으로 통하며, 기업 쇼핑을 하러 다닌다고 알려질 정도로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하는 경영자로 알려져 있는데요. 무려 75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는 거대 그룹이며, 자산 총액이 10조가 넘습니다. 쌍용차 인수전도 나선 이력이 있죠. 티케이케미칼, 남선알미늄, SM벡셀 등 탄탄한 계열사로 미래 산업에 대한 육성도 하고 있는 만큼 정치인맥주가 아니더라도 눈여겨볼 만한 종목이긴 합니다.
3. 남화토건 (091590, 코스닥)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국회의원이던 시절 지역구는 전남 무안입니다. 남화토건의 최재훈 대표가 이낙연 국무총리와 광주제일고 동문이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남화토건이 이낙연 관련주로 엮이게 되었죠. 전남 무안CC 골프장은 남화산업이 운영하고 있어 해당 기업과의 인맥 연관성을 강하게 만드는 이유가 되었기도 합니다. 남화산업의 관계사인 남화토건이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고, 재무구조가 안정적이고 2022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크게 증가하며 호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남화토건은 남화산업, 한국C&T, 센트럴 저축 은행 등 14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남화토건이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낙연 관련주로는 남화토건이 주목받습니다. 사실 남화토건은 주식시장에서 주요 토건사와의 경쟁에도 밀리고, 실적이 호전적이지만 토건사 특유의 지속적인 성장이 어려운 부분 때문에 이낙연 관련주의 테마 흐름이 아니면 상승할 명분은 크게 보이지 않습니다.
4. 주연테크 (044380, 코스피)
뜬금없이 컴퓨터 관련 기업인 주연테크가 이낙연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인맥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주연테크 권오룡 사외이사가 노무현 대통령 시절 차관을 지냈기 때문입니다. 노무현 - 문재인 라인으로 분류되는 이낙연 전 총리인 만큼 노무현 대통령 시절 차관직을 지낸 권오룡 사외이사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주연테크가 이낙연 관련주로 엮이는 것이죠. 인맥주라는 것이 원래 다 그래요. 집안 종친이 기업하고 있고, 상장회사이거나 혹은 상장회사의 사외이사로만 재직해도 인맥주로 엮습니다. 그런 거예요.
주연테크는 가끔 메타버스, 비트코인 관련주로 상승할 때가 있긴 하지만 투자를 위한 종목으로 써 그렇게 매력적인 종목은 아닙니다. 실적으로 해당 기업에 투자하기보다는 정부의 사업 육성 정책 및 이낙연 관련주 등의 테마주로써 접근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판단되며, 시가총액 400억 원 대로 투자 리스크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라면 절대 단기 투자 외에는 주연테크에는 접근하고 싶지 않지만 이낙연 전 총리의 국내 복귀와 정치권 재진입 등의 이슈가 이루어진다면 주목해 볼 만합니다.
'일반적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콜라띠에 자격증. 초콜릿 전문가로써의 기술 검증 과정 (0) | 2023.05.08 |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직장인 N잡러의 성실한 모두채움 세금 납부 (0) | 2023.05.05 |
PER, PBR, EPS, BPS 기업가치 평가 용어에 대한 이해 (0) | 2023.05.02 |
전세사기 특별법 지원내용 및 대상자 기준 (1) | 2023.05.02 |
1인당 GDP(PPP) 순위로 살펴본 부자나라 순위. 한국은 몇위일까?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