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상식 / / 2023. 4. 24. 00:12

스마트팜 관련주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미래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농업 시대

스마트팜 테마주
스마트팜 테마주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공업의 진흥화를 통해 수출로 나라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있지만 뉴질랜드, 덴마크와 같은 나라는 풍족한 자원과 함께 농업을 기반으로 경제력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이 발생해 우리의 삶의 최악으로 치닫는 경우에도 가장 생존 확률이 높은 나라라고 인정받고 있죠.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농업에 대한 경쟁력이 낮기도 하고, 농사를 짓는 농촌이라고 하면 어르신들만 가득한 노령 산업을 떠올리는데요. 계속해서 농업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 큰 문제입니다. 과거와 같은 노동력을 투입하는 농업이 그대로이기 때문에 요즘은 개발도상국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농사를 위한 노동력으로써 투입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대로는 식량자원으로써의 농업 경쟁력이 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다가오는 미래에는 농업 경쟁력을 위해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데 인공지능과 결합한 스마트팜을 준비하는 투자자로서 스마트폼 관련주에 대해서 준비하는 자세를 가져보도록 합시다. 

 

1. 그린플러스 (186230, 코스닥)

스마트팜 관련주 그린플러스
스마트팜 관련주 그린플러스

 

스마트팜은 아직까지 제대로 된 테마 시세를 보여주고 있진 않지만 분명히 다가오는 미래에 큰 이슈를 만들어낼 종목입니다. 장기투자를 염두해 매수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정부 지원 사업 등에서 스마트팜은 빠지지 않는 중요한 테마이기도 합니다. 대기업에서도 스마트팜에 투자를 하고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스마트팜 관련주에 대해서는 기존에 전문화된 사업을 영위하는 시가 총액이 낮은 종목을 공략하는 것이 더 효과가 좋지 않을까 싶은데요. 

 

스마트팜 관련주로써의 대장주는 현재 그린플러스입니다. 그린플러스는 대형 첨단온실을 시공 기술을 통해 4계절 스마트팜을 운영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드는 기업인데요. 기획 및 설계 시공까지 전공정을 맞춤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그린플러스입니다. 그린플러스는 그린케이팜을 종속회사로 두고 딸기 재배사업을 하며, 실증사업을 하고 있기도 한데요. 

 

그린플러스는 스마트팜 사업에 대해서 굉장히 적극적으로 가장 앞서있는 기업입니다. 국내 최초로 '첨단 수직 농장' 사업을 시작했고, 무인으로 무빙 배드 시스템을 적용해 노동력을 최소화한 온실에서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는데 대형 첨단 온실 시공이 가능한 국내 1위의 스마트팜 기술력 보유기업이라고 할 수 있죠. 신세계푸드에서는 그린플러스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하며 계약을 체결했으며, 인도네시아와 일본에도 기술 수출을 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만큼 스마트팜에 대한 투자 테마가 형성되면 대장주로 나설 수 있는 강력한 종목입니다. 

 

2. 국순당 (043650, 코스닥)

스마트팜 관련주 국순당
스마트팜 관련주 국순당

 

백세주로 유명한 국순당이 스마트팜 관련주라고 하니 조금 황당할 수도 있어요. 주류제조 및 판매 사업이 주 업종인 국순당 역시 미래 사업을 주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 농업법인인 '팜에이트'의 지분을 24.9%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죠. 국순당은 스마트팜 기업인 '팜업'을 설립해 직접 스마트팜 시장에 진출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팜업의 배상민 대표는 국순당 오너 일가의 3세이며, 국순당의 정체된 사업에 활력을 넣기 위한 사업 확장으로 스마트팜을 낙점해 추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순당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팜에이트의 경우에는 생각보다 스마트팜 수출 계약이 활발합니다. 일본에 스마트팜을 20개나 수출하고, 쿠웨이트와 스마트팜 수출 계약을 맺는 등 활발한 사업 진출을 보이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홈플러스, 초록마을을 비롯해 계약이 어렵기로 유명한 코스트코에도 납품을 하고 있다고 해요. 팜에이트가 비상장사인 만큼 스마트팜 관련주로써 국순당이 주목받을 수 있을 것이며, 국순당 역시 팜업을 통해 스마트팜에 진출한다고 선언한 만큼 국순당은 스마트팜 관련주로써 분명 매력이 있는 기업입니다. 

 

3. 이수화학 (005950, 코스피) 

스마트팜 관련주 이수화학
스마트팜 관련주 이수화학

 

이수화학에 대한 미래가 상당히 긍정적입니다. 최근 이수화학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분류되면서 주가가 상당히 상승한 상태이기도 한데요. 전고체배터리 관련주로 분류하게 된 원인인 황화리튬 사업부를 이수스페셜티케미컬로 물적분할을 진행하면서 그룹의 차세대 사업 발굴 및 신사업 진출에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이수화학은 스마트팜 관련주로써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수화학은 2018년부터 중국 신장성에 1만 5천 평 규모의 스마트팜 설계 및 시공을 비롯해 해당 사업을 확장성을 보고 벨류체인을 구축하는 사업까지 바라보고 있는데요. 무엇 보다 내수 시장이 큰 중국에 스마트팜 온실 사업을 진행하면서 중국 정부로 부터 부지사용 허가까지 받아 해당 스마트팜 온실에서 과채류를 생산해 판매까지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경북 의성군에 '청년 농업인 스마트팜 조성단지 민간 위탁 운영사업'에 선정되어 스마트팜에 도전하고자 하는 청년들과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수화학은 스마트팜 사업은 확실히 진행형입니다. 중국에서 먼저 사업을 시작해 경험을 쌓았고, 현재는 극한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북방형 스마트 온실 패키지 모델 개발 사업'에 선정되어 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스마트팜 시설에 대한 개발 및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수화학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스마트팜 생산기술 및 청정에너지 신기술 개발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식물 공장 기반 기능성 천연물 생산 및 원료 표준화 기술 개발에 힘쓴다고 합니다. 자본력과 기술력이 우수한 이수화학 같은 기업이 스마트팜에 진출하게 된다면 우리나라가 스마트팜 선도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좋은 발판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