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상식 / / 2023. 4. 11. 00:34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응시자격 및 난이도, 시험 구성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취득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취득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강세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산업은 제조업을 기반으로 집중적인 혁명을 이루었고, 자동차, 조선, 반도체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도 높은 순위에 랭크되어 있는 제조업이 뛰어난 국가이죠. 하지만 세상은 변해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이 세계적인 위상을 자랑하지만 하드웨어에만 강했고, 소프트웨어에 약한 모습을 보이면서 자체 생태계를 구축한 애플에 고배를 마셔야 했고, 구글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모습이 아쉬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앞으로의 세상은 4차 산업 혁명에 포커스를 맞추어야 하고, 나의 존재감을 나타나기 위해서는 정보를 다루는 일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C언어 및 코딩이 초등 기본교육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최근에 IT직군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몸값은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공급 부족에 업계에서는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이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정도는 아주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의 응시자격 및 난이도 시험 구성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1.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의 개요 

정보처리기능사 개요
정보처리기능사 개요

 

정보처리기능사는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잘 다루는 능력이 있음을 증명하는 자격증인데요. 사실 산업기사나 기사급의 시험이 아닌 만큼 취득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는 않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산업기사나 기사의 경우에는 응시를 위한 학력 및 경력이 필요하므로 정보처리기능사부터 먼저 접근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90년대 후반에 제가 이 자격증을 취득할 때까지만 해도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플로피디스켓에 저장해 제출하는 방식의 시험이었습니다. 제가 중학생이던 시절인데 이렇게 추억을 되새겨 보니 저 되게 옛날 사람인 것 같아요. 정보처리기능사는 군복무를 하고 있는 군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자격증이기도 합니다. 상대적으로 취득 난이도가 낮고 공부에 드는 시간이 그렇게 많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이죠. 

 

 

군에서는 자격증을 취득하면 포상휴가를 주는데 다른 자격증 보다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아 공략이 쉬운 자격증이 정보처리기능사이기도 하고, 필기와 실기가 모두 필답형이라서 실기에 대한 부담도 없습니다. 공무원시험을 치를 때도 기능사는 0.5점의 가산점이 주어집니다. 공무원 시험에서는 1점 2점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정보처리기능사로 0.5점을 앞서 간다면 경쟁에서 우위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응시자격 및 시험 난이도 

정보처리기능사는 '기능사' 레벨의 자격증이기 때문에 연령과 학력, 성별, 지역 및 학력에도 전혀 제한을 두지 않고 있습니다. 원래 기능사 레벨은 누구나 응시가 가능하고, 과목별 시험 난이도도 높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관심을 갖고 도전하기에 좋은 자격증이죠. 실제로 정보고 및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전산 관련 실무 능력 배양을 위해서 재학 중 정보처리기능사를 많이 응시합니다. 

 

제가 정보처리기능사의 취득이 다른 자격증에 비해 난이도가 낮다고 말씀드렸는데 이건 고등학생 이상 또는 성인에 한정한 정보입니다. 기능사는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다 보니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공부방법에 대해서 노하우가 부족한 어린이들도 많이 응시하는 편이며, 2022년 기준으로 11,255명 응시하여 합격자는 7,084명으로 62%대의 합격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중학생 이하 어린이들도 많이 응시하는 자격증이 바로 정보처리기능사입니다. 

 

3. 시험 구성  

정보처리기능사의 시험 과목을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져 있고, 실기 역시 필답형입니다. 실기라고 불리지만 실제로 무언가를 수행하면서 보여주는 실기는 아닌 셈이죠.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실기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실기

 

①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시험 내용 : 전자계산기 일반, 패키지 활용, PC 운영체제, 정보통신 일반 

 -  시험 문항 : 60문항

 - 시험 시간 : 60분 

 - 합격 기준 : 100점 만점 중 60점 

 

 

②정보처리기능사 필기 

 - 시험 내용 :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SQL 활용

 -  시험 문항 : 필답형 

 - 시험 시간 : 90분 (1시간 30분) 

 - 합격 기준 : 100점 만점 중 60점 

 

4. 시험 일정 및 수수료 

정보처리기능사 응시일정
정보처리기능사 응시일정

 

일반적으로 기능사 시험은 연간 4회 진행됩니다. 2023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지만 기능사 시험은 나라에 큰 변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닌 이상 매년 거의 동일한 시기에 진행됩니다. 필기시험은 1월에 1회 차, 3월에 2회 차, 5월에 3회 차, 8월에 4회 차로 진행되며, 필기 합격자에 한해서 필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응시 수수료는 14,500원이며 실기 응시 수수료는 17,200원입니다.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 지출되는 비용은 시험 응시 수수료 31,700원과 약 3만 원가량의 교재만 구입하면 됩니다. 비록 난이도가 낮은 정보처리기능사이지만 처음부터 높은 단계에 도전하기보다는 정보처리기능사부터 한 단계씩 STEP BY STEP으로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준비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